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아이티라떼] 네이버 연구진이 서울대·카이스트 교수로 임용된 이유는…

황순민 기자
입력 : 
2021-10-14 15:50:41
수정 : 
2021-10-15 18:19:25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지난 5월 네이버와 서울대가 양측의 AI 연구진 1백여명이 투입되는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공동 연구 협약을 맺었다. 왼쪽부터 협약식에 참석한 함종민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산학협력센터장, 장병탁 AI 연구원장, 전병곤 AI 연구원 연구부원장. [사진 제공 = 네이버]
네이버 인공지능(AI) 연구자들이 최근 서울대와 카이스트(KAIST) 교수로 임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외부 개발자가 정식 교수로 임용된 것은 서울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됐던 기존의 산학협력과는 달리 기업과 대학이 하나의 연구 공동체로 밀착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입니다. 서울대와 카이스트에는 각각 2명과 3명의 네이버 연구진이 파견돼 교수직을 겸직하게 됩니다. 이들은 겸직교수(adjunct professor)로서 각 대학 학생연구원들을 지도할 계획입니다. 서울대 관계자는 "네이버 개발자 분들이 최근에 임용된 것이 맞고, 다음 학기부터 초대규모 AI와 관련해 안 풀리는 난제를 정해 학생들과 함께 문제를 직접 풀어가는 식으로 컴퓨터공학부나 협동과정 수업을 맡을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업계에서는 향후 연구자들이 추가로 겸직교수로 합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서울대 카이스트와 손잡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최근 인공지능(AI)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초거대(Hyperscale) AI'연구를 위해서입니다. 쉽게 말해 초거대AI는 '인간을 대체하는 인공지능의 현실화'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는 인간 뇌에서 뉴런을 연결해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시냅스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파라미터 규모가 커질수록 AI 지능이 높아집니다. 최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가 최근 초거대 인공지능(AI) 언어 모델을 공개했는데, 신규 AI 모델은 'MT-NLG'로, 파라미터가 약 5300억개에 달합니다.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고 에세이나 소설도 창작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네이버는 국내 초거대 AI 분야에서 가장 앞서 가는 회사입니다. 네이버는 지난 5월 2040억개의 파라미터를 갖춘 초거대 AI 언어 모델 '하이퍼클로바'를 국내 기업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향후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국내 유수 대학들과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네이버-서울대, 카이스트의 연구원들이 하나의 연구센터를 구성해 밀착 협력하는 것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시도입니다. 대학은 '엘리트벽'을 허물었고 네이버는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등 막대한 리소스를 투입합니다. 국내에서 이러한 강결합 방식의 산학협력을 대규모로 시도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로 평가 받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수년 동안 매출의 약 25%를 R&D에 투자해온 회사입니다. 특히 이 중 AI 분야 투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 대학들과 손잡은 네이버의 '초거대AI'에 이목이 집중됩니다.

[황순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